맨위로가기

310 중계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10 중계석은 JTBC에서 2020년 7월 20일부터 2020년 12월 4일까지 방송된 평일 오후 3시 10분부터 3시 45분까지의 시사 프로그램이다. 양원보가 앵커를 맡았으며, 고정 및 객원 해설위원이 출연하여 주요 뉴스 및 사회 현안에 대해 논했다. 방송 중 부산 홍수 보도, 베이루트 폭발 사고 보도, 자전거 절도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JTBC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이 시각 뉴스룸
    《이 시각 뉴스룸》은 2018년 4월 16일부터 JTBC에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으로, 평일과 주말에 방송되며, 현재는 주말 오전 11시 55분(토요일)과 오전 11시 45분(일요일)에 방송되고, 앵커는 JTBC 소속 기자 또는 아나운서가 격주로 진행한다.
  • JTBC의 뉴스 텔레비전 프로그램 - 썰전 라이브
    《썰전 라이브》는 JTBC에서 2021년 6월 7일부터 2022년 10월 7일까지 방송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은 유동적이었다.
  • 202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태원 클라쓰 (드라마)
    박새로이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이태원에 포차 '단밤'을 열고 장가 그룹에 맞서 사업을 키워나가는 이야기인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관계와 사회적 소수자 이야기, 그리고 원작 웹툰과는 다른 드라마만의 독창적인 스토리로 2020년 높은 시청률과 인기를 얻었다.
  • 2020년에 시작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머니게임 (드라마)
    《머니게임》은 정부 지분이 투입된 은행의 부도 위기 속에서 국가적 재앙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금융위원회와 기획재정부 인물들의 갈등과 노력을 그린 드라마로, 1997년 외환 위기 재현을 막는 과정에서 금융권의 어두운 면과 정치적 음모, 개인의 욕망이 얽히는 상황을 묘사한다.
  • 202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정치합시다
    정치합시다는 KBS 1TV에서 방송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두 시즌 동안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지식다방'과 '민심포차' 코너를 통해 다루며, 특히 '민심포차'에서는 각 지역 민심을 청취했다.
  • 2020년에 종료한 대한민국 TV 프로그램 - 이태원 클라쓰 (드라마)
    박새로이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위해 이태원에 포차 '단밤'을 열고 장가 그룹에 맞서 사업을 키워나가는 이야기인 드라마 《이태원 클라쓰》는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관계와 사회적 소수자 이야기, 그리고 원작 웹툰과는 다른 드라마만의 독창적인 스토리로 2020년 높은 시청률과 인기를 얻었다.
310 중계석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제목310 중계석
원제310 중계석
장르뉴스, 풍자
방송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채널JTBC
방송 기간2020년 7월 20일 ~ 2020년 12월 4일
방송 횟수90회
방송 시간평일 오후 3시 10분 ~ 3시 45분
방송 분량35분
시청 등급모든 연령 시청가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한국어
자막한국어
고화질 방송 여부HD 생방송
카메라다중 카메라 설정
제작진
진행자양원보
편집35분

2. 방송 시간

JTBC에서 2020년 7월 20일 ~ 2020년 12월 4일 평일 오후 3시 10분 ~ 3시 45분 (35분) 방송되었다.

3. 앵커

양원보

4. 역대 앵커

역대진행자진행 기간비고
1대양원보2020년 7월 20일 ~ 2020년 12월 4일


5. 코너


  • 오프닝 - 양원보가 《오늘의 헤드라인》의 기사를 소개하고 전날 시청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2020년 10월 14일에 폐지되었다).
  • 오늘의 헤드라인 - 원래 이름은 《관전 포인트》였으며, 기사가 세 부분으로 나뉘어 방송된다.
  • 실시간 중계 - 진행자는 방송 시간 기준으로 네이버의 실시간 트렌드 10위를 확인한다.

6. 해설위원

역할요일이름기간비고
해설위원월요일, 수요일style="text-align:center;"고현준2020년 7월 20일—2020년 9월 28일 (월요일)SBS 러브FM의 《고현준의 뉴스브리핑》 현재 진행자
월요일김경진2020년 10월 12일—2020년 11월 30일국민의당 소속, 광주광역시 북구 지역구 제20대 국회의원
화요일style="text-align:center;"이종훈2020년 7월 21일—2020년 8월 4일작가
style="text-align:center;"임소라2020년 8월 18일—2020년 12월 1일JTBC 정치부 기자, 전 정치부 회의 청와대 출입 캡틴
목요일style="text-align:center;"전민기2020년 7월 23일—2020년 8월 6일사회학자
수요일, 목요일style="text-align:center;"박성태2020년 8월 27일—2020년 12월 3일 (목요일)JTBC 주말 에디터, 전 정치부 회의 앵커
금요일style="text-align:center;"강찬호2020년 7월 24일—2020년 11월 13일중앙일보 논설위원



이름기간비고
류호정[1]2020년 8월 11일 (일일 해설)정의당 제21대 국회 국회의원
최수연2020년 8월 20일; 2020년 9월 4일; 2020년 10월 9일, 16일; 2020년 12월 4일JTBC 정치부 기자
이수진2020년 10월 30일; 2020년 11월 20일; 2020년 12월 2일JTBC 사회부 기자
이자연2020년 11월 27일JTBC 주말 기자


7. 시청률

은 유료 방송 채널에서 방송되어 KBS, SBS, MBC, EBS 등 공영 방송의 지상파 프로그램에 비해 시청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2] 2020년 8월 27일 방송분은 AGB 닐슨 수도권 기준 1.4%, 전국 기준 1.317%로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고, 2020년 9월 18일 방송분은 수도권 기준 0.4%로 최저 시청률을 기록했다. 2020년 10월 15일부터 시청률 발표가 중단되었다.

7. 1. 2020년 시청률 상세

2020년 1월부터 57화까지는 시청률이 발표되었고, 58화부터 90화까지는 시청률 발표가 중단되었다.

AGB 닐슨에서 측정한 1~57화까지의 시청률은 수도권과 전국 평균 시청 점유율을 기준으로, 대체로 1% 미만이었다. 가장 높았던 시청률은 8월 27일에 기록한 1.4%(수도권), 1.317%(전국)였으며, 가장 낮았던 시청률은 9월 18일에 기록한 0.4%(수도권), 10월 5일에 기록한 0.493%(전국)였다.

58화부터는 시청률 발표가 중단되었으나, AGB 닐슨의 전국 평균 시청 점유율 자료는 남아있다. 이 기간 동안 가장 높았던 시청률은 10월 21일에 기록한 1.136%였고, 가장 낮았던 시청률은 11월 11일에 기록한 0.451%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료 TV 채널에서 방송되어 KBS, SBS, MBC, EBS 등 공영 방송의 지상파 프로그램에 비해 시청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7. 1. 1. 1~57화 (시청률 발표 중단 전)

회차방송 날짜평균 시청 점유율
AGB 닐슨
수도권전국[2]
17월 20일0.7%0.696%
27월 21일0.5%
37월 22일0.6%0.776%
47월 23일1.0%
57월 24일0.8%1.011%
67월 27일0.7%0.583%
77월 28일0.8%0.819%
87월 29일0.9%0.826%
97월 30일0.7%0.787%
107월 31일1.0%0.885%
118월 3일0.7%0.71%
128월 4일0.6%
138월 5일1.2%1.006%
148월 6일1.1%1.085%
158월 7일
168월 11일1.0%0.858%
178월 12일0.5%0.698%
188월 13일1.2%0.89%
198월 14일0.553%
208월 18일0.8%0.838%
218월 19일1.0%1.003%
228월 20일1.3%1.159%
238월 21일0.7%0.826%
248월 24일0.5%0.818%
258월 25일0.9%0.926%
268월 26일1.0%0.953%
278월 27일1.4%1.317%
288월 28일1.0%0.924%
298월 31일0.5%0.616%
309월 1일0.9%0.869%
319월 2일0.7%0.674%
329월 3일1.1%1.17%
339월 4일0.875%
349월 8일0.7%0.695%
359월 9일0.8%0.741%
369월 10일1.3%1.157%
379월 11일1.2%1.036%
389월 14일0.7%0.653%
399월 15일0.7%0.696%
409월 16일1.2%1.004%
419월 17일0.8%0.8%
429월 18일0.4%0.517%
439월 21일0.8%0.786%
449월 22일1.3%1.039%
459월 23일0.9%0.831%
469월 24일1.2%1%
479월 25일0.6%0.609%
489월 28일0.6%0.729%
499월 29일0.857%
5010월 5일0.5%0.493%
5110월 6일0.8%0.828%
5210월 7일0.7%0.807%
5310월 8일1.0%0.779%
5410월 9일1.3%1.203%
5510월 12일0.9%0.846%
5610월 13일0.6%0.806%
5710월 14일1.0%0.772%


7. 1. 2. 58~90화 (시청률 발표 중단 후)

2020년 10월 15일부터 시청률 발표가 중단되었다.[4] 58화부터 90화까지의 AGB 닐슨 전국 평균 시청 점유율은 다음과 같다.

회차방송 날짜전국 평균 시청 점유율
5810월 15일0.699%
5910월 16일0.868%
6010월 19일0.634%
6110월 20일0.666%
6210월 21일1.136%
6310월 23일0.68%
6410월 26일0.57%
6510월 27일0.769%
6610월 28일0.71%
6710월 29일0.662%
6810월 30일0.578%
6911월 2일0.898%
7011월 3일0.873%
7111월 9일0.944%
7211월 10일0.915%
7311월 11일0.451%
7411월 12일0.848%
7511월 13일0.985%
7611월 16일0.587%
7711월 17일0.983%
7811월 18일0.877%
7911월 19일0.949%
8011월 20일0.956%
8111월 23일1.047%
8211월 24일0.965%
8311월 25일0.606%
8411월 26일0.793%
8511월 27일1.03%
8611월 30일0.992%
8712월 1일1.128%
8812월 2일0.994%
8912월 3일0.747%
9012월 4일1.038%



해당 프로그램은 유료 TV 채널에서 방송되므로, KBS, SBS, MBC 또는 EBS와 같은 공영 방송의 지상파 프로그램에 비해 시청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8. 논란

이 프로그램은 그 특성 때문에 네티즌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다.

8. 1. 부산 홍수 보도 논란

2020년 7월 24일, 해당 방송은 부산 홍수를 가볍게 다루는 듯한 태도로 비판받았다. 해당 클립은 현재 비공개 처리되었다.

8. 2. 베이루트 폭발 사고 보도 논란

2020년 8월 5일 베이루트 폭발 사고를 스포츠 중계 형식과 "관전 포인트"를 활용하여 보도한 것에 대해 시청자들이 불만을 제기했다.[4]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에 대해 경고를 발령했다. 해당 클립은 이후 비공개 처리되었다.

8. 3. 자전거 절도 관련 발언 논란

2020년 10월 21일, 양원보 앵커는 네덜란드의 자전거 절도범이 많다는 기사를 보도하며, 네덜란드 대사관 앞에서 항의 시위를 할 수 있겠다고 비꼬는 뉘앙스로 언급했다. 같은 방송에서 그는 해설자 박성태에게 "자전거를 도난당한 경험이 있지 않냐"며 농담을 던졌다.[1]

참조

[1] 웹사이트 대자보 100장 붙인 류호정.."비동의 강간죄 관심" 호소 https://news.v.daum.[...] 2020-08-11
[2] 웹사이트 310 중계석 시청률 – Daum 검색 https://search.daum.[...] 2020-08-07
[3] 웹사이트 S. Korea designates Aug. 17 as temporary holiday for virus-weary people http://www.koreahera[...] 2020-07-21
[4] 웹사이트 JTBC '310중계석', 베이루트 폭발 대참사 보도에 "관전포인트" https://entertain.v.[...] 2020-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